아동 청소년 육아 관련 이야기

첫 자동차 중고차? 새차?

둘아빠 2023. 3. 28. 17:48
반응형

사회 초년생의 첫 자동차 무엇이 경재적일까?

첫차는 중고차 vs 새차 어떤걸 골라야할까요? 정답은 없지만 제 경험담을 들려드릴게요. 저는 첫 차를 중고차로 선택했어요. 아무래도 처음 운전하다보니 사고날 확률도 높고 수리비도 많이 나올것 같아서 부담없는 중고차로 골랐어요. 물론 사회초년생이라 돈이 없어서 그런것도 있구요..ᄒᄒ 아무튼 그렇게 고른 차가 지금 타고있는 소나타 입니다. 벌써 6년째 타고있는데 잔고장 없이 잘타고있어요. 그래서 주변 친구들에게도 무조건 중고차 사라고 추천하는데 다들 반응이 영 시원찮더라구요. 왜 그럴까요?

중고차랑 새차 중 뭐가 좋을까요?

사실 이 부분은 개인의 경제상황과 취향에 따라 다를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저의 경우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고차를 선호한답니다.
1. 감가상각
2. 보험료 및 세금 절약
3. 차량관리 용이
4. 합리적인 유지비
5. 가성비 좋은 매물 확보가능

수입차 vs 국산차 

국산차와 수입차 사이에서 고민하시는 분들도 많을 거예요. 저도 한때 그랬거든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두가지 모두 장단점이 있고 개인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저의 경우엔 돈 걱정없이 살 수 있다면 외제차를 사겠지만 현실적으로는 국산차를 타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일단 유지비 측면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이에요. 보험료에서부터 수리비 등 모든 면에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어요. 게다가 고장이라도 나면 부품 수급 문제로 수리기간이 길어지고 그만큼 불편함도 커지죠. 반면 국산차는 보증기간이 끝나면 대부분 자비로 수리해야하지만 그나마 저렴하고 빠르게 수리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자동차 감가상각이란 뭔가요?

자동차나 기계장비 등 고정자산의 가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해요. 쉽게 말해 내가 산 물건의 값이 떨어지는거죠. 자동차같은 경우 출고한지 얼마 안된 신차일수록 감가상각이 크고 오래된 연식일수록 감가상각이 적어져요. 그렇기 때문에 나중에 되팔때 조금이라도 손해를 덜 보기 위해서는 최대한 늦게 사는게 유리하겠죠? 그리고 외제차인 경우 감가상각이 국산차 보다 기간이 자날수록 감가율이 국산차보다 훨씬 높답니다.

보험료 및 세금절약은 어떻게 되나요?

일단 먼저 말씀드릴건 절대 경차를 사지 말라는 거예요. 경차는 취등록세 면제라는 엄청난 혜택이 있지만 그만큼 안전성이 떨어지고 연비도 안좋아요. 특히 초보운전자라면 더더욱 위험하기 때문에 비추드려요. 그리고 매년 내는 자동차세도 무시못하거든요. 일단 준중형급 이상부터는 배기량별로 세금이 책정되기 때문에 소형차나 경차는 훨씬 적게 낼 수 있어요. 거기다 운전자 나이제한 특약이라는 제도가 있어서 만 26세 이하이신 분들은 보험료가 엄청 비싸거든요. 근데 부모님 명의로 가입하면 좀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답니다.

차량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저는 그냥 엔진오일이랑 에어컨필터만 주기적으로 갈아주고 세차 열심히 해주는걸로 관리하고 있어요. 다른분들 보니까 타이어 교체시기마다 바꿔주시고 브레이크패드 점검하시고 하던데 솔직히 너무 귀찮잖아요ᅲᅲ 게다가 소모품이다보니 어쩔수없이 지출되는 금액도 꽤 되구요. 그러니 최소한의 관리는 하되 스트레스 받지 않는 선에서 적당히 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자동차 유지비는 얼마나 드나요?

제가 타는 소나타 가솔린 모델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한달 기름값 10만원정도 들고(출퇴근 왕복 40km) 각종 오일류 교환비용 합치면 15~20만원 정도 들어요. 이렇게 계산해보면 연간 200만원 정도 드는 셈이죠. 참고로 유류비는 주행거리/연비*주유금액 하면 대략적인 수치가 나온답니다.

이렇게 해서 총 정리하자면 초보자에게 적당한 차종은 중소형세단 또는 요즘 핫한 소형 SUV라고 생각해요. 어차피 큰 차이 없으니 예산내에서 마음에 드는 디자인으로 고르시면 될듯합니다. 다만 주의해야할 점은 반드시 무사고 차량인지 확인하세요. 그래야 나중에 팔때도 편하고 혹시 모를 고장수리시에도 편하답니다.

둘아빠 블로그 홈으로 가시면 여러 정보들이 있으니 한번 둘러봐 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아래 링크해 드리겠습니다.

 

반응형